VM 설치 및 설정을 완료했다. 이제 리눅스 설치를 진행한다.

왼쪽 상단에 Power on this virtual machine을 누른다.
화면 하단에 나오는 기능 키(Function Key) 종류
F1 - Main : 현재의 화면이다. 만약 GUI 방식으로 설치를 원하면 boot: <ENTER> 또는 boot: linux를 입력하면 되고, TUI 방식으로 설지를 원한다면 boot: linux text를 입력하면된다.
F2 - Option : 부트 프롬프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트 옵션의 도움말을 제공한다.
F3 - General : 리눅스 설치 시 해상도에 관한 도움말을 제공한다.
F4 - Kenel : 커널 파라미터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한다. 부트 시 커널에 인자를 부여하여 커널에 특정 하드웨어를 인식하게 하거나 정확한 메모리 양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F5 - rescue : 리눅스 설치 후 부팅이 안되거나 심각한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복구하기위한 모드로 부팅하는 방법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한다. 응급 복구 모드는 linux rescue를 입력하면 된다.

CD 미디어 테스트 화면
리눅스를 설치하기 전에 설치 CD/DVD에 결함이 없는지 무결성 검사를 위해서 md5sum상태를 체크하는 과정으로 시간이 오래걸리므로 Skip 한다.

NEXT
* 설치 과정중 윈도우로 빠져 나오려면 <Ctrl + Alt>키를 누른다.

한국어 선택 후 Next

키포드 선택 화면인데 U.S 영어 자판을 사용하면 된다.

리눅스의 하드디스크 이름은 sda라고 한다. 초기화하고 새로 설치하기 위해서 "예"
를 누르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파티션 분할 방법 선택 화면이다.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를 선택한뒤 다음을 누른다.

내가 듣고있는 강의에선 위와같이 파티션을 나눠준다.

새로 생성을 누르고 파티션을 위에 있는 표와 같이 설정해 준다.

다음

편집을 눌러 네트워크 설정을 한다.
편집을 완료하고 나와서 수동으로 호스트명 설정을 눌러 호스트명을 설정해준다.
그외 설정에 맞는 값을 작성해 주면된다. cmd에서 ipconfig /all명령어를 통해 정보를 확인한다.

IPv6는 사용하지 않고 IPv4에 대해서 수동설정을 한다.
IP Adress와 Prefix를 입력해준다.
역시나 cmd에서 ipconfig /all을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는 한국이므로 아시아/서울

root계정의 암호를 설정한다. root계정은 관리자 이다.
기억하기 쉽게 centos로 해주었다.

설치하고 싶은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면 된다.
나는 실습에 필요한 "Desktop - Gnome", "Server", "Server - GUI"를 선택했다.

설치 중

재부팅을 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나중에 실습시간에 설정하기 위해서 비활성화 하였다.

이것 역시 실습시간에 설정하기 위해서 비활성화하였다.

이건 그냥 앞으로

시간설정은 나중에 명령어를 통해 정확하고 쉽게 할수 있으므로 통과하였다.

테스트용 사용자를 추가한다. 같은 Red Hat 계열인 fedora이름을 따와 Fedora로 만들어 주었다. 암호도 역시 fedora

설정이 다 끝나면 자동으로 재부팅이 되고 로그인 창이뜨게 된다.
로그인시 root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하면 된다
centos / cent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