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 환경 구축 1. 버추어 박스(VirtualBox) 설치 - https://www.virtualbox.org/ 2. 실습 이미지 다운로드 - windows : https://dev.windows.com/en-us/microsoft-edge/ - metasploitable : http://sourceforge.net/projects/metasploitable/ - kali-linux : https://www.offensive-security.com/kali-linux-vmware-virtualbox-image-download/ 3. 운영체제 및 실습 프로그램 설치 - 실습 프로그램 설치(windows) : 취약점이 있는 프로그램, 분석도구 4. 네트워크 구성 - 모든 운영체제의 네트워크를 아래와 같이 ..
목표1. 백업 개요2. 백업 종류3. 백업 / 복구 명령어 4. rsync 서비스를 이용한 백업 1. 백업 개요(Backup Overview) □ 백업의 개념 : 데이터나 정보가 지닌 가치를 보존하는 것으로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보호, 예기치 못한 사고로부터의 복원, 시스템 백업은 매일 해야 한다. - 백업이 필요한 이유예기치 못한 천재지변관리자의 실수기계적 오류소프트웨어 버그 - 주요 백업 대상전체 파일 시스템마지막 백업 후의 변경된 파일 시스템어플리케이션각종 환경 설정 파일사용자 파일 등 - 데이터 손실의 주요 원인하드웨어적인 사유소프트웨어적인 사유사용자의 부주의해커의 침입기타 도난, 자연재해 2. 백업 종류 일반적으로 백업 종류는완전 백업(Full Backup)증분 백업(Incremental Back..
목표1. at 명령어2. crontab 명령어 1. at 명령어 - at 데몬은 지정한 시간에 어떠한 작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작업 스케줄을 예약 처리해 주는 기능을 한다. at 스케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at 데몬이 작동하고 있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atd 데몬을 동작시킨다.# service atd restart - 명령어 형식 2. crontab 명령어 - cron 데몬은 같은 작업을 주기적으로 반복 실행 되도록 하는 작업 스케줄용 데몬으로, 매분, 매시, 매일, 매주 , 매월, 매요일 단위로 cron 데몬에 의해서 작업이 실행될 수 있다.# service crond restart - 명령어 형식
목표1. 사용자 관리2. 그룹 관리3. 패스워드 에이징 1. 사용자 관리(User Administration) ▷ 사용자 정보 파일 - /etc/passwd :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가 저장된 파일 - /etc/shadow : 사용자의 암호가 저장된 파일 ▷ 사용자 관리 명령어 - useradd CMD : 사용자 정보 추가 명령어# useradd user01 /* 계정 추가 */# passwd user01 /* 패스워드 설정 */ - usermod CMD : 사용자 정보 변경 명령어# usermod -u 2000 user01# usermod -s /bin/ksh user01# usermod -g 10 -c "Test Group" user01# usermod -l user03 -d /home/user03 ..
목표1. 리눅스 부팅 과정 ▷ 리눅스 부팅 과정 - 0단계 : 전원 스위치 ON 단계시스템 전원공급메인보드의 ROM-BIOS에 있는 BIOS프로그램 자동실행 한다.BIOS 프로그램은 전원공급과 함께 메모리의 특정번지에 자동 로드 된다.CPU는 전원공급과 함께 특정번지의 BIOS프로그램을 자동실행 한다. ※ BIOS란?기본 입출력 프로그램, BIOS는 컴퓨터를 처음 켤 때 부터 끌 때까지 시스템에 설치된 주변기기들에 대한 제어와 오류 검색 기능을 수행하며 프린터 등 시스템 외부에 설치된 주변 장치들을 운영체제가 직접 통제 할 수 있게 해준다. - 1단계 :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단계 (Firmware 단계) 자체진단기능 (POST(Power On Self Test))CM..
목표1. RPM 패키지 관리2. YUM 패키지 관리3. 소스 패키지 관리 1. RPM 패키지 관리 [참고] 오픈소스 프로젝트 (한국 미러링 사이트)http://ftp.daum.nethttp://ftp.neowiz.com/pubhttp://mirror.cdnetworks.com위의 사이트 외에도 더 있다. ▷ RPM (Redhat Package Manager) - Redhat 사에서 패키지를 좀 더 쉽게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해 만든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이다. - 명령어 형식# rpm [옵션] - 명령어 옵션 EX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 rpm -ivh package-filename.rpm /* 이전 버전 패키지 삭제 하지않고 새버전 설치 */rpm -Fvh package-filename.rpm /* 이..
목표1. swap 이란?2. swap 관리 1. 스왑(swap) 이란? - 디스크 내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메모리 공간, 물리적인 메모리 연장 공간처럼 쓰이는 공간 - 스왑은 메모리 내에 데이터 페이지 또는 세그먼트를 교체하는 것이다. 스왑핑은 컴퓨터가 주기억장치보다 더 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파일을 다룰 수 있게 하는 유용한 테크닉이다. 2. 스왑(swap) 관리 ▷ swap 추가 방법 - 스왑은 파일 형태와 파티션 형태로 추가가 가능하며, 스왑을 현재 추가 할때는 mkswap, swapon 명령어를 사용하고 부팅시에 스왑을 마운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etc/fstab 파일을 사용한다. - SWAP File (ex: /swap/swapfile)① 큰 파일 생성# dd if=/dev/zero o..
목표1. RAID 종류 및 설명2. RAID 생성 1. RAID 종류 및 설명 ▷ RAID -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신뢰성을 높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장 장치를 말한다. ▷ RAID 종류 - Hardware RAID (Firmware에서 지원, 단위 : DISK) 성능우수, 유연성 떨어짐 - Software RAID (OS에서 지원, 단위 : Partition) 성능 떨어짐, 유연성 우수 ▷ 관련된 용어 - DAS (Direct Attached Storage), 직업 연결 저장 장치컴퓨터나 서버에 직접 연결된 컴퓨터 저장장치이다. -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Network Area Storage)NFS/CIFS(SMB) 서..
목표 1. LVM 이란? 2. LVM 구성 요소 3. LVM 작동 방법 4. LVM 구성 실습 5. LVM 관리 1. LVM(Logical Volume Manage) 이란? -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 볼륨그룹으로 구성해서 이 논리적인 볼륨 그룹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 만큼의 논리 볼륨을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볼륨그룹(VG)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논리볼륨(LV)은 독립적이므로, 하나의 디스크에도 여러 가지의 파일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용량증설이 요구 될 경우에도 볼륨그룹에 물리볼륨(PV)만 추가하여 용량증설이 가능하고, 데이터량이 감소하면 볼륨그룹에 속한 물리볼륨 개수를 축소하여 용량 감소가 가능하다. - Virtual Volume ..
목표1. 마운트 확인2. 마운트 관련 파일들3. 마운트 관련 명령어들4. 기타 마운트 1. 마운트 확인 -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마운트 과정을 거쳐야 사용이 가능하다. - 명령어 형식# df -k /* 마운트 상황 정보, 디스크 사용량 점검 확인 */# mount /* 마운트 옵션 정보 확인, 마운트 시간 확인 */ - 현재 마운트 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mount CMD - 부팅시 마운트 할 때 사용하는 파일 (부팅시 자동 마운트)/etc/fstab 2. 마운트 관련 파일들 - 리눅스 시스템에서 /etc/mtap 파일은 현재 마운트 되어져 있는 정보를 담는다. - /etc/mtab 파일은 마운트 된 자원이 있다면 mntfs에 의해 자동으로 정보가 등록되고, 언마운트가 되면 자동으로 정보가 삭..